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8.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익상편의 두께와 난시, 각막상피하 침범 길이에 대한 분석

목적: 익상편 수술 전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AS-OCT)으로 병변의 각막상피하 침범 길이를 측정하고 익상편 두께와 각막 난시의연관성을 평가하며 수술 전후 각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익상편 절제술을 시행한 8인 환자의 10안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전에 각막지형도상의 Simulated keratometry astigmatism value, AS-OCT에서 병변의 두께와 정상각막상피하 침범 길이, 전안부 사진에서 익상편의 상대 수평길이, 수직길이, 면적을 평가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수술 1개월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AS-OCT상 정상각막상피하 침범 길이는 평균 595.00 ± 310.32 μm였다. 수술 전 직난시는 평균 2.9 ± 2.3 D였고 각막상피의평균 두께는 269.60 ± 84.17 μm였다. 수술 전후 각막상피두께 변화량의 평균은 210.73 ± 80.36 μm로 상대 수평길이, 수직길이, 면적에 비해 익상편 유발 직난시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p=0.044) 높은 상관 계수(adjusted R2=0.412)를 보였다. 수술 전후 직난시의차이뿐 아니라 수술 전 직난시에서도 유의하게(p=0.027) 높은 상관계수(adjusted R2=0.342)를 보였다결론: 수술 전 시행한 AS-OCT는 익상편의 정상 상피하 침범 길이를 알 수 있어 완전 절제를 위한 수술 범위 결정에 도움을 줄 수있다. 익상편으로 인한 각막상피 두께의 증가는 전안부 사진으로 측정되는 지표보다 각막난시에 더 큰 영향을 주며 해당 값이 클경우 수술 후 더 큰 직난시의 감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urpose: We use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OCT) to measure the pterygial subepithelial invasion length and thickness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to evaluate the corneal epithelium and the extent of astigmatism.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en eyes that underwent pterygial excision surgery were analyzed. We used corneal topographic data to assess astigmatism before surgery and employed AS-OCT to measure corneal epithelial thickness and the length of subepithelial invasion. We measured the relative pterygial length, width, and area on anterior segment photographs. Corneal topographic assessment and AS-OCT were repeated 1 month after surgery.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malization of astigmatism an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excised pterygium. Results: The mean With-the-Rule proportion of preoperative astigmatism was 2.9 ± 2.3 D and the mean corneal epithelial thickness 269.60 ± 84.17 μm. The mean thickness of the excised pterygia was 210.73 ± 80.36 μm. Pterygial thick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tent of preoperative With-the-Rule astigmatism and the normalized With-the-Rule astigmatism after pterygial excision. These correlation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relative pterygial length, width, and area. The mean subepithelial invasion length was 595.00 ± 310.32 μm. Conclusions: An increase in pterygial epithelial thickness influenced the extent of With-the-Rule astigmatism to a much greater extent than did the relative pterygial length, width, and area. AS-OCT measurement of the subepithelial invasion length identifies the required excisional area prior to surgery.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