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정보관리를 위한 EMR 인증기준의 실습 모델 연구
SQL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중심
- 최준영(Joon-Young Choi)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0 No.1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7
- 25 - 38 (14 pages)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EMR 인증기준의 이해 및 데이터관리 실습을 위한 SQL 실습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EMR인증기준의 기능성에 대한 처방정보관리를 실습하는 것이다. EMR 인증기준에 의한 실습내용은 약품마스터관리 및 약품명 조회, 투약처방 조회, 수진 정보 변환 후 이전 투약 처방 조회, 투약처방 시 검사 결과 조회, 검사처방기록 조회로 구성되었다. 추가적으로 식이처방기록 조회, 기타처방기록 조회, 마약류 투약 처방 중단 시 반납사유 조회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서 MS-ACCESS 기반의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시스템의 처방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처방정보관리 인증기준의 내용을 조회할 수 있는 SQL문장을 작성하였다. EMR 인증기준 실습은 SQL을 사용하여 인증기준에서 요구하는 조회항목을 직접 추출해봄으로써 인증기준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증기준 외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및 정보 생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a SQL practice model for understanding EMR certification standards and data management practice for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rs was presented. This study is to practice prescription information management for the functionality of EMR certification standards through th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The data management practice according to the EMR certification criteria consists of medicaiton master management and medicaiton name inquiry, medicaiton prescription inquiry, previous medication prescription inquiry after converting medical care information, examintaion result inquiry when administering medicine, examination prescription records inquiry. Additionally, dietary prescription records, other prescription records, return reason inquiry when administering medicine is stopped are included. Accordingly, using the prescription management database of the MS-ACCESS-based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system, a SQL statement was written that can inquire the contents of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management certification standards. In the EMR certification practice, you can understand the certification standards more easily by directly extracting the query items required by the certification standards using SQL an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data management and information generation ability to extract data other than the certification standard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