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에 대한 편견, 사회적 거리감 및 행동에 관한 연구
- 박상언(Sang-Un Park) 김권중(Kwon-Jung Kim) 공정현(Jeong-Hyeon Kong)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10 No.1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7
- 129 - 135 (7 pages)
본 논문은 노인을 돌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해야 할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편견, 사회적 거리감, 행동에 대해 기초 자료를 조사하여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긍정적인 태도 향상을 위한 실행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J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행동은 노인에 대한 편견과 부적 상관관계(r=-.171, p=.040), 사회적 거리감과는 (r=.387, p<.001)정적 상관관계,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편견은 정적 상관관계(r=.171, p=.0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령화사회에서 노인간호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간호학생의 노인에 대한 편견, 사회적 거리감,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향후 지역별 간호학생의 차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nursing students’ broad understanding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by examining basic data on prejudice, social distand and behavior for nursing students who should play a key role in caring for the elderly. We want to find a way to implement i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urvey of 145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city, Gyeongnam, and the IBM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subjects’ behavior toward the elderl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judice aganinst the elderly(r=-.171, p=.040),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distance(r=.387, p<.001). Relationship, social distance an prejudice toward the elder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171, p=.040). Prejudice toward the elderly, social distance, and positive behavior toward the elderly are important factors for nursing students who should play a key role in nursing care for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Therfore, a study on differences among nursing students by reg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