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몽골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 백명화 안성아 박찬경 이해랑 공정현 OTGONSEND OCHIRBAT MUNKHTUYA ENKHBAYAR NARANTSETSEG ENKHTUYA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9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221 - 230 (10 pages)
본 논문은 한국과 몽골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하여 비교 연구함으로써 몽골과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경남 소재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87명과 몽골 국립의과대학의 간호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간호대학생이 몽골 간호대학생보다 주관적 행복감, 임상실습 만족도 정도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몽골 간호대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몽골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 간호교육기관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행하여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o improve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Mongolia and Korea by comparatively studying subjective happiness, clinical practices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etween Korean nursing students and Mongolian nursing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7 nursing students from one college in Gyeongnam and 100 nursing students from the National Medical University of Mongolia and data analysis were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 was Korean nursing students had lower subjective happi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an Mongolian nursing student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Mongolian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and in Mongolian nursing students, the lower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the higher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nd Mongolia to develop a joint program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 의
5.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