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대사 및 정신건강의 차이 비교
- 정대인(Dae-in Jung) 고대식(Dae-Sik Ko)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9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309 - 316 (8 pages)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 여부에 따른 심혈관대사 및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하고, 추후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년~2018) 원시자료 중 폐경기 여성 4,453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심혈관대사는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HDL 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중성지방을 측정하였고 정신건강은 우울여부와 스트레스 인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신체활동은 허리둘레가 작을수록, 수축기 혈압이 낮을수록, 이완기 혈압과 HDL-콜레스테롤이 높을수록 신체활동을 잘 실천하고 있었으나 우울과 스트레스 인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경기 여성의 심혈관과 대사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허리둘레, 혈압, HDL-콜레스테롤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ardiovascular-metabolic risk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in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present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of postmenopausal women. 4,453 postmenopausal women among the raw data of the 7th period (2017-2019)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ardiovascular-metabolic was measured by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HDL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and triglycerides, and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depression and stress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ere more physically active as their waist circumference was smaller, systolic blood pressure was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holesterol were high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stress perception.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HDL-cholesterol management are necessary to improv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functions in postmenopausal women.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 찰
5.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