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최정명(Jung-Myung Choi) 김선미(Sun-Mee Kim)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9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383 - 389 (7 page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로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최종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후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정서인식명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정서인식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인식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 비해 줄었으므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whethe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s a mediating effect. The study subjects were students attending a college located in C province, and the final 200 copies recovered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SPSS 2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stage 1 emotional clarity 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 on self-efficac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stage 2 emotional clarity on subjective well-being,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 on subjective well-being. Level 3 emotional clarity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ince the influence of emotion clarity decreased compared to level 2, self-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And when looking a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ubjective well-being,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subjective well-being.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