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 박선미(Seon-Mi, Park)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9 No.1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07
- 41 - 49 (9 pag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충남, 전북지역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 3학년 총 164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정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일반적 경향 및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은 평균보다 약간 높고, 그릿은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에는 일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놀이경험과 놀이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릿에 대해 놀이경험은 약 10%, 놀이성은 약 30%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그릿 증진 프로그램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experience, playfulness,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grit. For the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questionnaire targeting a total of 164 students in the 2nd and 3rd yea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olleges in Seoul, Chungnam and Jeonbu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y grade of variabl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y grade of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layfulnes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and the grit was at the average level. Secon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lay experience, playfulness, and grit. Third, for grit, it was found that play experience had an explanatory power of about 10% and playfulness about 30%.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grit enhancement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