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안성아(Seong-Ah Ahn) 정은영(Eun-Yeong Jeong) 공정현(Jeong-Hyeon Kong)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9 No.1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07
- 51 - 60 (10 pages)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 1개, 경남지역 1개 간호대학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동년 4월 30일까지 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0%이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ived stress, self-esteem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clinical practice stress. Participants consisted of 164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t two nursing universtities located in Gyonganam and Jeonnam, and agreed to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m April 1 to April 30,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Win statistic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 found that clinical preactic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 stress wre perceived stress,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27.0%.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reduce perceived stress and improve self-esteem in order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