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자료 중 최종 11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주도학습 평균점수 3.32±0.39점, 학업성취도 3.32±0.75점, 학습만족도 3.31±0.78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호하는 학습방법과 학업성취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에게 간호학 교과목을 온라인 강의 운영에는 학습자의 학습방법을 사전에 평가하여 온라인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및 수업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online lecture substitution for subjects due to COVID-19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e final 113 nursing students of data recovered a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3.32±0.39, academic achievement 3.32±0.75,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3.31±0.78. Factors affecting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preferred learn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instruction and operate classes to improv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by evaluating the learner's learning method in advance when running nursing school subjects as online lectures for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