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의료이용자의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와 변화 요구도

본 연구는 2019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의료를 이용한 사람들의 보건의료제도에 관한 만족도, 변화 요구도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상태, 의료이용 경험에 따라 분석하고, 보건의료제도 신뢰도 및 만족도, 변화 요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세 이상의 건강보험대상자 중 최근 1년 간 외래와 입원을 이용한 의료이용 경험자 8,349명으로 하였다.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및 ANOVA, Scheffe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이용자들의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신뢰도와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고연령층, 낮은 교육수준, 읍면지역, 비용부담 의료이용제한 경험자 등의 인지도가 낮아 이들에 대한 정책과 보건의료제도 홍보가 필요하다. 보건의료제도 신뢰도는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수립을 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수렴과 사회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신뢰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의료이용자들은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고, 취약지역·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의료기관 입원 및 외래 이용의 만족은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신뢰와 만족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국민적 합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ealth care system satisfaction and reform need using the data from the ‘2019 Health Care Experience Survey’. For 8,349 data with experience in medical use, health care system satisfaction and reform need level was analyzed by t-testing and ANOVA by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Research has shown that health care us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and health care systems for senior citizens, low education levels. Since the reliability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government should establish policies that they can trust, and in the process, they should gather opinions from the public and secure credibility through social consensus. Medical users were sympathetic to the need for reforms in the health care system, and felt the need to support vulnerable areas and vulnerable groups the most.

1. 서론

2. 본론

3. 고찰 및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