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 성별에 따른 비만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llege

DOI : 10.22961/JHCLS.2021.9.1.147
  • 48

본 연구는 대학교 재학중인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만 정도에 따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차 1차년도(2019년)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자료 중 대학에 재학중인 287명을 대상을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체질량 지수는 남학생이 23.71kg/m2이었고, 여학생은 21.31kg/m2로 남학생은 과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정상체중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점수는 남학생이 0.97점이었으며, 여학생은 0.98점으로 여학생의 삶의 질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비만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된 회귀분석 결과에서 남학생은 저체중에 비해 정상체중(β=0.053, p=0.003), 과체중(β=0.041, p=0.030) 및 비만체중(β=0.046, p=0.012)에서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향후, 대학교의 건강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비만체형에 대한 교육과 저체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data used the data of the 8th year (2019)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mong the survey data, 287 students enrolled in college were enroll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sex was 23.71kg/m2 for male students, 21.31kg/m2 for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were overweight, and female students showed normal weight. The quality of life score according to gender was 0.97 points for male students and 0.98 points for female students, indicating a high quality of life score for female students. In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boys had normal weight (β=0.053, p=0.003), overweight (β=0.041, p=0.030) and obese weight compared to underweight.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β=0.046, p=0.01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in female students.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obese body type and the education program for underweight should be combined with the university's health-related education program.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