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주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환경요인, 물질적지지, 행동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83%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The degree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was measured for 250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City I, and the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were analyzed. For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average, and job stress at a slightly lower level. Second,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83% explained that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material support, and behavioral factors affect job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at can affect the reduction of job stress of in-service teachers.

1. 서론

2. 본론

3.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