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전기-후기노인의 안전의식 및 건강요인이 손상 및 손상기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제3년도(2018년)원시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전기-후기노인의 안전의식 및 건강요인이 손상 및 손상기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년간 손상발생 여부에 응답한 전-후기노인 1608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노인은 성별, 결혼상태, 안전의식, 건강요인이 손상발생률과 관련성이 있으며, 전기노인은 여성일수록, 결혼상태가 별거 및 이혼 등의 상태일 때, 안전의식이 낮을수록, 2주간 몸의 불편감, 1달간의 와병여부, 1년간의 입원여부, 2주간의 외래 진료여부, 연간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이 있을수록 손상 발생율이 높았다. 후기노인도 여성, 별거 및 이혼 상태, 안전의식 수준이 낮고, 와병 여부, 입원여부, 연간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자일수록 손상발생률이 높았다. 따라서 손상사고 발생율을 낮추는 예방 교육으로 사회활동이 많은 전기노인은 교통수단 이용증가에 따른 맞춤형 안전교육, 후기노인은 건강행태에 따른 맞춤형 안전의식 고취 교육을 선별적으로 강화하고, 다양한 운송수단에 대한 음주운행 시 법적 처벌 강화, 교육의 통합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jury based on the 7th National Data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safety awareness, health status, injury,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of injury. The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of 1,608data.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in the young-old elderly, gender(woman), marital status(separated of divorced), lower the awareness of safety, body discomfort, sickness, and in-outpatient, Annual unmet medical service experienced are higher the occurrence of injury. Therefore, as a prevention education that lowers the incidence of injury. selective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and legal penalties for drunk driving on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strengthening and education is required

1. 서론

2. 본론

3. 고찰 및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