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을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소재의 2개 간호대학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간호대학생 199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6월 15일부터 동년 8월 29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 test, ANOVA, scheffe’s test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평균 4.87점, 자아존중감은 평균3.84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2.77점이었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전공만족도, 자존중감이었으며,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14.1%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공만족도를 향상을 위한 선후배 멘토링 제도, 동아리 활성화 및 성별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ubjective happiness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clinical practice stress. Participants consisted of 199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t two nursing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nam, and agreed to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June 15 to August 29, 202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 for subjective happiness was 4.87 (out of 7), the mean for self-esteem was 3.84 (out of 5),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2.77 (out of 5).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were gender, major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nce was 14.1%. Therefore, we need differentiated clinical practice stress reduction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nd various strategies that can enhance major 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