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강원도 고성군 노인의 입원 다빈도 질환 추세변화 분석

본 연구에서는 원도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재정자립도 및 의료자원이 열악한 고성군의 건강 수준 비교를 위하여 10대 주요 사망 주요사인을 분석하고 2003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공단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요양병원을 제외한 노인 인구의 입원 이용의 다빈도 질환을 1순위부터 30위까지 추세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의 지역사회 건강지표 개선을 위한 방향과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필요하며 강원도 고성군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인구 인구가 많은 지역사회에서는 충분한 예산과 의료자원을 확보하여 이에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ajor causes of teenage deaths to compare the health level of Goseong-gun with relatively poor financial independence and medical resources, and used statistics from 2003 to 2015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o examine the trend of high frequency diseases of the elderly population, excluding nursing hospitals, from 1st to 30th plac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community health indicators and effective arbitration measures are required. In Goseong-gun, Gangwon-do, as well as in communities with a large population nationwide,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budget and medical resources to establish a system to respond to them.

1. 서론

2. 강원도 고성군 건강수준

3. 맺음말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