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미취업 청년과 알코올 사용장애와의 관련성

본 연구는 청년 실업자의 건강행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알코올 장애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2015년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청년(15-29세)집단 1,077명을 조사하였으며, 분석은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문제음주 비율은 19.4%였다. 유배우자 집단이 무배우자 집단보다 AUDIT점수가 2.05배 낮게 나타났다(β=-2.05, p=0.10). 주관적 건강상태에서는 건강수준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집단에 비해 보통수준의 건강상태 집단이 2.42배 낮게 나타났다(β=-2.42, p=0.008). 마지막으로 미취업 청년집단의 AUDIT 점수가 취업 청년집단보다 1.97배 낮게 나타났다(β=-1.97, p=0.00). 향후, 취업 교육프로그램에 청년의 정신적·신체적 위해 요인이 될 수 있는 문제음주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gree of alcoholic disorder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health behavior of unemployed youth. As the research data, the 6th year 2015 survey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KNHNS) was used. We surveyed 1,077 youth (15-29 years old) and analyzed the surveyed data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high-risk drinking was 19.4%. The AUDIT score of spouse group showed 2.05 times lower than the non-spouse group(β=-2.05, p=0.10). I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average health status group was 2.42 times lower than the group with bad health level(β=-2.42, p=0.008). Finally, the AUDIT score of the unemployed youth group showed 1.97 times lower than the working group(β=-1.97, p=0.00). We expect that an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problem drinking, which can cause mental and physical harm to youth, should be included in the future job training program.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