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5세 유아의 ‘착한 친구’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조화연(Wha-Yeon Cho)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6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8.12
- 171 - 176 (6 pages)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뿐만 아니라 언어 및 인지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측면이다. 유아들이 ‘좋아하는’ 또는 ‘착하다’고 생각하는 ‘착한 친구’에 대한 개념은 유아들에게 인기 있는 ‘인기아’ 즉 ‘멋진 친구’에 대한 유아들의 이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단서이다. 실제로 학기 초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사들을 가장 어렵게 하는 문제 중의 하나가 또래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아들을 지도하는 일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유아들의 특성, 즉 유아들이 ‘착한 친구’라고 말하는 유아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사들이 또래 관계에 어려움을 맺고 있는 유아들을 지도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positive peer relations of early childhood is an important aspe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s well as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The concept of a 'good friend' that children think of as 'good' or 'good' is an important clue that allows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understanding of 'popular ah', or 'cool friend', popular with young children. Indeed,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s to guide young children who are having difficulty in forming a peer relationship.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ho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in this respect,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say that they are "good friends," can be important clues for teachers to guide young children with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I think.
1. 서론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