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기공사의 치과보철물 제작환경 실태
- 남신은(Shin-Eun Nam) 이희경(Hee-Kyung Lee)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5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7.12
- 105 - 110 (6 pages)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치과기공소 내 근무환경을 알아보고 치과보철물 제작환경 및 그 관행수가에 대한 치과기공사들의 인식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치과기공사 161명이었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는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64.4%)의 과도한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연 소득 수준은 2,400~3,600만 원(27.2%)과 6,000만 원 이상(27.2%)로 양극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치과보철물의 재제작 시 주 원인은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하는데 비해(80.2%) 치과기공요금은 치과기공소에서 전액 부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67.5%). 셋째, 대상자들은 현행 기공료 관행수가가 낮으며(96.9%) 그것의 조정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97.9%).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치과기공사들의 근무환경을 합리적으로 향상시키고 관행수가를 포함한 치과보철물의 제작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technicians and pr oduction environment of dental prosthesis in dental laboratory. The survey was conduct ed for 161 dental technicians in Korea, an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 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were overworked more than 10 hour s a day(64.4%), and their annual income level was polarized from 24 to 36 million wo n(27.2%) and over 60 million won(27.2%). 2) In case of remake of dental prostheses, dental laboratories paid the rate of remake(67.5%), while the main cause was in the d ental clinic(80.2%). 3)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 market price of gold crown rest oration is unreasonable(96.9%), and it was necessary to adjust and improve it(97.9%).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 onment of dental technicians an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dental prosthesis including the market price of it.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결론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