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및 부양부담감 간의 관계
경기도 가족사랑 이음센터를 중심으로
- 성미라(Mi-Ra Sung) 정기정(Gi-Jung Jung)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4 No.2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6.12
- 101 - 113 (1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및 부양부담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치매환자 가족부양자 14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및 부양부담감 측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직업유무 사회적지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26, p=.002). 치매가족부양자의 연령(r=.30, p=<.001)과 직업유무(ρ=.19, p=.025)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가족부양자의 월평균소득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ρ=-.20, p=.016). 치매가족부양자의 성별(ρ=-.28, p=.001), 진단시기(ρ=-.22, p=.009) 및 월평균소득(ρ=-.20, p=.020)은 부양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부양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status of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egiving burden in family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living at community-dwelling.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40 family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egiving burden are measu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ρ=-.26, p=.002).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age (r=.30, p=<.001) and job(ρ=.19, p=.02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and is a significant monthly incom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ρ=-.20, p=.01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giving burden and gender(ρ=-.28, p=.001), diagnosis after recognition(ρ=-.22, p=.009) and monthly income(ρ=-.20, p=.02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be developed to increase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to decrease caregiving burden for family caregivers.
1. 서론
2. 본론
3.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