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요양기관당연지정 제도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의식 조사

본 연구는 요양기관지정제도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제도 운영의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의료공급자 집단이 생각하는 국민의료의 질은 전체적으로는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이 90%로 나타났는데, 이 중 의사 집단의 경우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이 95%로 높게 나타났고 행정직의 경우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은 85%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면 의료공급자 집단은 국민에게 적용되는 의료서비스의 질은 상당히 높다고 평가하고 또한 건강보험 요양기관 요양기관당연지정제도로 인하여 국민의 의료 접근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와 관련해 의사 집단은 의료의 접근성이 편리하다는 응답이 58.4%(132명)인 반면, 행정직의 경우 47.9%(92명)만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여 의사가 느끼는 의료의 접근성과 행정직이 느끼는 의료의 접근성의 인식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의료공급자들의 의견 및 동료 의료공급자 선택에 대한 예상은 요양기관당연지정제도가 개선되어 계약제가 시행되더라도 요양기관 가입률은 높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healthcare providers' awareness on the authorization system of healthcare institutions and implications for its opera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healthcare provider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90% of healthcare providers, 95% of doctors and 85% of hospital administrators were aware of national health quality as above normal, respectively. By the findings, healthcare providers were evaluating that the quite high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 is applied to the nation. The obligatory authorization system of healthcare institutions had a significantly high access to national healthcare. With respect to this, 58.4%(132 persons) of doctors responded that the access to healthcare is convenient, while only 47.9%(92 persons) of hospital administrators responded that it is convenient,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octors' and hospital administrators' awareness of the access to healthcare. Consequently, healthcare providers' opinion and choice are expected to improve the obligatory authorization system of healthcare institutions. This suggests that healthcare providers are significantly likely to join healthcare institu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결과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