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노동시장 참여형태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
한국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 김창환(Chang-Hwan Kim)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 Vol.3 No.1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5.07
- 79 - 88 (10 pages)
본 논문은 고령화연구패널(KLoSA)자료를 이용하여, 제13차(2010)년 조사에서 만45세 이상의 중고령자 7,1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노동시장 형태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고령자의 삶의 질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순자산 정도), 결혼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감각 기능장애, 육체적 제약, 정규직 여부에서 삶의 질(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고학력일수록, 유배우자일수록, 주관적으로 건강하고, 감각기능 장애, 육체적 제약이 없고, 정규직 일수록 주관적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제적인 취업이 경제 수준을 높여주고, 건강인식과 주관적 생활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일자리 창출은 건강수준을 높여주며,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경감 시킬 수 있기에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 하겠다.
This study, the aging research panel (KLoSA) data, using the 13th (2010) at the age of 45 years or older research subjects studied 7,116 people. As a result women than men, the lower the age, education level or college-educated and have, the more your spouse in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sensory impa irment, no there is no physical disability, full-time paid workers relative to the more sub jective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is means that the economic stability of employment status and raise the economic level, giving recognition to improve perceived health,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very important in t erms of job creation and retention in the elderly are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soli difying the elderly's social infrastructure expansion is required.
1. 서론
2. 본론
3.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