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청각장애 여성 성인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모음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청각 장애인 여성 성인의 음향 매개 변수(F0, F1, F2)를 비교, 분석하여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재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첫째, 청각장애 여성의 F1, F2는 모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0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건청 여성의 F1, F2는 모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0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청각장애 여성과 건청 여성의 F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1, F2의 경우는 청각장애인이 건청 성인보다 모음을 중성화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ome acoustic parameters(F0, F1, F2) of the hearing impaired female adults and to suggest a basic data on speech rehabilit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First, in the case of the hearing impaired group, F1, F2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0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the normal-hearing group, F1, F2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0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hearing-impaired and the normal-hearing F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 F2 is obtained if the same result as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hearing-impaired have a vowel neutralized than the normal-hearing adul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