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문화진흥정책은 「독서문화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독서문화 기반 조성, 독서 인프라 구축, 독서 인구의 확대 등 다양한 독서 정책이 마련되었다. 정부는 법률에 의거하여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정책을 추진하였고 독서 진흥을 위해 많은 시간과 정책 비용을 투입하였다. 하지만 독서문화진흥정책 생태계는 독서량이 감소하고 있는 등 자생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독서문화진흥정책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정책 변수들을 모색하고 정책 변수들 간의 인과 지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하였다. 즉 정책 변수는 문헌 및 정책보고서 등을 통해 2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정책 변수들을 중심으로 독서문화진흥정책을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통해 인과지도 및 피드백루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서복지 체계 구축, 독서 운동 확대, 디지털 독서 콘텐츠 구축, 독서 정책 협력시스템 구축, 독서 인력양성, 독서문화 기반 확충, 우수 도서 출판 및 보급 확대, 정부의 독서 지원 정책 등 8개의 피드백루프가 나타났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various reading policies were prepar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reading culture foundation,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infrastructure, and the expansion of the reading pop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aw,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and promoted the policy, and invested a lot of time and policy money to promote reading. However, the ecosystem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is evaluated as not having self-sufficiency as the amount of reading is de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policy variables based on system thinking and analyzed the causal map between policy variables to activate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ecosystem. System dynamics was used for analysis. Twenty policy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and policy reports. Based on these policy variables,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was analyzed through system dynamics through causal guidance and feedback loo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feedback loops appeared. The feedback loop includes establishment of a reading welfare system, expansion of reading movement, establishment of digital reading content,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for reading policy, nurturing of reading manpower, expansion of the foundation for reading culture, expansion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xcellent books, and the government's reading support policy.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및 인과지도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