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역사지리 제3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2015년 네팔 지진과 여성

Nepal Earthquake in 2015 and Wome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Intersectionality of Gender, Caste, and Class

DOI : 10.29349/JCHG.2022.34.2.191
  • 131

이 연구는 2015년 네팔 지진 피해를 심각하게 입었던 네팔 신두팔초크 지구 달리트 마을의 10명 여성의 지진 경험을 젠더, 카스트, 계급의 상호교차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국제노동이주로 인한 남편 부재 상황에서 지진을 경험한 가난한 달리트 여성들은 카스트, 계급, 젠더 요인의 상호교차성으로 사회·경제적, 건강과 위생의 취약성에 중층적으로 노출되었다. 이 연구 내의 사례들은 국제이주로 야기된 남성 배우자의 부재가 남아있는 여성들에게 다양한 지진 피해를 경험하게 했지만, 가난한 달리트 가구의 복구와 회복을 위한 물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유일한 희망의 끈이 남성 배우자의 국제이주노동 유지였음을 보여준다. 예기치 못한 지진 발생과 남편의 국제이주노동이 만들어 낸 딜레마는 남아있는 여성 가장의 젠더, 카스트, 계급의 상호교차성이 빚어낸 증폭된 피해 경험이었고, 남성 배우자의 이주노동 지속은 경제적으로 한계적 상황에 있는 달리트 가족의 생존전략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arthquake experiences of 10 women from Dalit villages in Sindhupalchok District, which suffered severe damage from the 2015 earthquake in Nepal, from an intersectional perspective of gender, caste, and class. In the absence of husbands due to their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Dalit women were exposed to multiple socio-economic, health and hygiene vulnerabilities due to the intersectionality of caste, class, and gender factors. This study shows that the husband’s continued labor migration without returning home can be understood as a survival strategy and the only hope for the poor Dalit households to receive material support for recovery from earthquake damage.

1. 들어가는 글

2. 이론적 배경과 연구대상

3. 달리트 여성의 네팔 지진 경험에 대한 상호교차적 이해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