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스쿨(d.School)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모델을 활용한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sign Play Program Using d.School Design Thinking Model on the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 34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7호.jpg

목적 본 연구는 디스쿨 디자인 씽킹 모델을 활용한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디자인 놀이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관련문헌분석, 전문가 협의, 놀이시안 개발 및 현장적합도 검증 과정을 거쳐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 창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개발된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유아의 공감능력 기르기, 유아의 협업능력 기르기, 유아의 문제해결능력 기르기, 유아의 유용성 능력 기르기로 선정하고, 내용은 개정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7개 활동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프로세서를 6단계로 재구성하여 실시하였고 평가는 과정중심 평가로써 문제해결능력, 표현능력, 태도를 평가하는 형식적 평가와 유아의 언어표현력 관찰, 디자인 놀이 결과물,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 명담 및 디자인 놀이 과정을 분석하는 비형식적 평가로 구성하였다 둘째, 창의력 사전⋅사후 검사결과,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력 하위요소 중 제목의 추상성과 정교성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들의 자발적 놀이를 통한 배움과 놀이 지원이 강조되는 시점에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창의력 효과 검증을 통해 디자인 씽킹 모델을 활용한 디자인 놀이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design play by verifying th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infants and developing design play programs using the d.School design thinking model. Methods To this end, a design play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alysis, expert consultation, play draft development, and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process, and pre-creativity and post-creativit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First, the developed design play program is as follows. The goals of the program were to develop infants' empathy, develop infants' collaboration, develop infants' problem-solving skills, and develop infants' usefulness skills, and seven activities were selected in connection with the revised Nuri course's life them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reorganized into six stages, and the evaluation consisted of a formal evalu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attitude as a process-based evaluation and an informal evaluation of infants' language expression, design play results, usefulness. Second, as a result of pre- and post-creativity tests, design play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among the sub-elements of creativity,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straction and sophistication of the titl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design play programs using design thinking models through development of design play programs and verification of creativity effects at a time when learning and play support through children's voluntary play is emphasiz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