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기초자치단체별 급성기 뇌졸중 사망률과 지역사회 위험요인 분석

Loco-regional Risk Factors for Acute Stroke Mortality in Korea Based on Claim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OI : 10.37243/kahms.2022.60.5
  • 200

노인인구에서 발생률이 높은 뇌졸중 질환은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주요한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사망률의지역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건강 결과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성기뇌졸중 적정성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뇌졸중으로 진단되어 입원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초자치 단체별 사망률을 분석하고 인구학적 (고령인구 비율, 남녀성비, 음주율, 흡연율,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스트레스 인지율), 사회경제적 (노후주택 비율, 재정자주도,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 의료 자원 (병원 수,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국 226개 기초자치 단체의 급성기 뇌졸중 사망률은 12.1 ± 2.2 %였으며 사망률이 가장낮은 지역은 11%로 경기도, 사망률이 높은 지역은 충청북도와 전라남도로 각각 14.0%, 13.2% 로 관찰되었다. 사망률 상위 10개 기초자치단체는 모두 지방 소도시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였다.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분석 결과 고령인구비율 (β=0.326, p=0.001) 이었으며 대도시 권역 기초자치단체 분석의 경우에는 남녀성비 (β=-0.352, p=0.001), 음주율 (β=0.232, p=0.003), 노후주택비율 (β=0.354, p=0.001), 의료급여 수급자비율 (β=0.312, p=0.018), 병원 수 (β-0.177, p=0.027)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지방 소도시 기초자치단체 분석 결과 고령인구 비율 (β=0.252, p=0.049), 재정자주도 (β =-0.166, p=0.014)가 사망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급성기 뇌졸중 사망률은 지방소도시 기초자치단체에서 높게 관찰되었으며 인구학적 요인 외에도 지역의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자주도)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역 수준에 따라맞춤형 보건 의료 정책을 수립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e aim to elucidate the discrepancies in acute stroke mortality among primary local governments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the mortality at loco-regional level to establish tailored health policies in Korea.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9, the mortality rates of patients who died from stroke within 30 days of hospitalization in 226 municipal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claims data accumulated by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emographic factors (elderly population ratio, gender ratio, alcohol consumption rate, smoking rate, subjective health status awareness), socioeconomic factors (ratio of old houses, financial autonomy rate, rate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medical resource factors (number of hospitals/ doctors) were analyzed. Acute stroke mortality rate in Korea is 12.1 ± 2.2%. The region with the lowest mortality rate is Gyeonggi Province (local government mainly consisting of urban cities) and regions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s are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South Jeolla. The elderly population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using overall nationwide data. It was also risk factor for stroke mortality in the cities or counties in rural areas. The male-female ratio, alcohol consumption rate, financial autonomy rate, and number of hospitals in the region were also mortality risk factors based on the data of urban cit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counti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and financial autonomy rate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stroke mortality in small towns in rural areas. Regional differences of acute stroke mortality were also found. Aside from demographic factors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socioeconomic factors (financial autonomy rate)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acute stroke mortality. Collectively, it is necessary to build health care policies that address the health inequality at the loco-regional level.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