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에서 무역에 대한 내용을 어떠한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무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교사가 무역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가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논문구성/논리: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기술하였다. 제2장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 방법에서는 지금까지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가운데 무역과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확인한 후, 무역 교육내용의 분석을 위한 대상 및 방법을 설정하였다. 제3장 교육과정에서의 무역 교육내용 분석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무역에 관한 학습이 어떠한 위계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제4장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의 무역 교육내용 분석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1학기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1개 중주제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무역을 어떠한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통하여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무역에 관하여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무역에 관하여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결과: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무역에 관한 내용은 3-4학년군에서 교류에 대한 학습으로 시작함을 확인하였다. 무역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은 5-6학년군 중주제 ‘세계 속의 우리나라 경제’임을 확인하였고,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무역이 발생하는 원인, 무역이 필요한 이유, 무역에서 일어나는 문제, 무역 관련 쟁점 등을 다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과서와 지도서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무역 관련 내용이 초등학습자의 수준에 알맞은 도표 및 그림, 어휘로 재구성하여 나타나 있으나, 일부 자료는 해당 차시의 학습 내용에 적합하지 않아, 실제 무역 사례를 기반으로 한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독창성/가치: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무역에 관한 내용을 교육함에 있어 어떠한 위계로 구성되어 있는지, 무역에 관한 개념 중 어떤 것을 선택하여 교육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무역 관련 중주제를 분석하여 학습자가 무역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이 타당한지, 교사용 지도서를 연구하는 교사에게 정확한 교수·학습 내용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무역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및 확정 과정에서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how the contents of trade were describ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this, it is analyzed whether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 are organized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trade correctly. Composition/Logic: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In Chapter 2,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nalysis method, after confirming which of the studies on the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object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rade education are established. In Chapter 3, the trade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analyzed, In Chapter 4,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and teacher guidebook is analyzed. In Chapter 5, it was suggest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n trade can be carried out in a more sophisticated way in the future 2022 revised curriculum.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rade began with learning about exchange in the 3-4th grad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 explicitly describes trade is the middle topic of the 5-6th grade group, 'Korea's economy in the worl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documents deal with the causes of trade, reasons for trade, problems in trade, and issues related to trade. In textbooks and teaher guidebook, trade-related contents presented in curriculum documents are reorganized into diagrams, pictures, and vocabulary suitabl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learners, but some data are not suitable for its learning goals, so additional explanation based on actual trade cases is needed. Originality/Value: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analyzed that how contents about trade is composed. In addition, it is analyzed whether the process of students understanding trade is reasonable and whether accurat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ere provided to teachers studying teacher guidanc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rade education can be confirmed with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at it will become a standar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과 분석 방법
Ⅲ. 교육과정에서의 무역 교육내용 분석
Ⅳ. 교과서 및 지도서에서의 무역 교육내용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