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진독수는 신문화운동을 통해 중국에 서구 민주주의를 도입하였고, 5.4운동 이후에는 믿음을 주었던 서구열강의 제국주의적 태도로 인해 실망하고, 다시 소련을 모델로한 새로운 국가 형태를 모색하여 중국에 마르크스주의를 도입하고 소개하였다. 중국공산당 창당과 함께 초대공산당 서기장이라는 현실 정치인으로 역할을 하는 등 20세기초 중국의 국난의 상황에서 구원을 위해 지식인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하였으나 현실 정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학자적 한계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진독수는 중국이 처한 현실 그리고 현실정치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의 허구성 등을 직시하고 그가 생애를 통해 변한 것 같으면서도 항상 그의 의식의 세계를 지배하였던 것은 바로 민주주의 사상이었다. 중국의 봉건주의, 제국주의 모순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의 와중에서 나타난 세계 국가들의 갈등 등 모든 문제의 원인은 바로 각국이 진정한 민주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진정한 세계평화는 바로 각국이 민주주의를 실천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당시로는 매우 선진적이고 선견적인 주장을 하였다.
陈独秀通过新文化运动把西欧民主主义导入中国,五四运动之后,因为受原本相信的西方列强帝国主义性态度的影响而感到失望,之后接受苏联模式重新摸索新国家形式把马克思主义导入中国并且在中国传播,他参与了中国共产党建党并且担任中国共产党秘书长职务,20世纪初期担起了中国国难状态下救国运动的责任,但是面对现实政治局面缺乏能动性。通过这一系列过程陈独秀直视到了中国现实政治中意识形态的虚构性,同时认识到和他变动的生涯有所不同的永远是他的思想意识中只有民主主义才能支配世界,中国的封建主义和帝国主义国家的矛盾以及第二次世界大战漩涡中出现的国家之间的纠葛等,他认识到所有问题的根源便是真正的民主主义没有在各国形成,并且主张真正的世界和平是各国民主主义得到实践的同时,才能形成对当时社会来讲非常重要的先进性和先见性。
목차
Ⅰ. 서론
Ⅱ. 西歐思想으로서 民主主義와 社會主義에 대한 인식
Ⅲ. 晩年思想으로서 民主主義와 世界化에 대한 인식
Ⅳ.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국제유가의 상승이 아제르바이잔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평가
- 14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구화와 젠더 불평등
- 한·중 소비자들의 외국 자동차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 일본의 대도시 특례와 광역행정제도에 관한 연구
- 晩年思想을 통해 살펴본 陳獨秀의 “세계화 (Globalization)” 인식
- 조선후기 개성상인의 성장과정과 그 쇠퇴요인 일고찰
- 일본의 동아시아 EPA전략과 시사점
- 한국의 중국연구 어제와 오늘
- Peaceful Resolution of Disputes vis-à-vis Counter‐terrorism and the Use of Force
- 일본의 경제부활과 모노즈쿠리 중소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