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세계적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과 소비, 유통의 새로운 질서를 확보하고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경제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도는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경제의 시대적 변화에서 우리나라 미래 경제 주체인 청년들은 디지털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역량이 창업기회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대학에서의 디지털교육 질적 향상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조사목적과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2022년 4월 1일부터 20일간 우리나라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 오프라인 방법으로 서베이조사를 실시하여 총 185명의 응답자 중 연구 부적합 응답지 35부는 분석에서 제외하고 최종 150개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디지털역량은 창업기회역량의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모두에 유의적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과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둘째, 디지털역량과 창업기회역량의 기회인식과의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디지털역량도 창업기회역량의 기회평가와의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대학에 재학 중인 청년들의 디지털역량과 창업기회역량 그리고 조절변수인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해 실증적 고찰을 재정립하였으며, 특히, 창업기회역량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측정 문항 개발에서 응답자 개인의 창업실행의 관점에서 창업 실무 위주의 다차원적 측정과 검증이 이루어졌다는데 본 연구는 학문적 가치가 있다. 또한 디지털전환(DX)시대 디지털 경제성장은 현재 진행 중인 신산업을 창출시켜 향후 여러 산업 분야로의 큰 확장성과 성장잠재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global network is securing new order of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nd spreading to a new economic paradigm that goes beyond time and space.,With the acceleration of entry into the digital economy, the digital utilization of Korean companie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ajor countries.,In the era of digital economy due to digital transition, young people are required to have digital competence as future economic subjects in Korea.,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gital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o sugges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digital education in universities.,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20 days from April 1, 2022,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the scope of the study.,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and 35 of the 185 respondent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 final 150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rough the survey analysis, first, the digit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the opportunity recognition and opportunity evaluation of th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so the hypothesis 1 and 2 were adopted.,Second, the hypothesis 3 was adopted as the social network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mpetence and opportunity recogni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Fourth, the hypothesis 4 was adopted because the social network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mpetence and opportunity evalua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The study redefined the empirical review of the digital competenc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and social network as moderating variables of young people attending college. In particular, the study was worthy of academic value in that it was measured and verified in terms of entrepreneurial practice of individual respondents in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items that were hard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In addition, the digital economic growth in the digital transition era is expected to create a new industry in progress and show great expansion and growth potential in various industrie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자료와 분석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