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의 가족기업은 창업자와 그가족에 의해 지배되거나 지배주주와 그 가족에 의해 소유 및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배구조적 특성상가족 기업은 주주와 경영자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며, 주주-경영자 간 대리인 문제보다는 지배주주-소액주주간 대리인 문제가 부각된다. 동시에 가족기업은 주인의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을 경영한다는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내부회계담당인력에 대한 투자는 관련 비용을 수반하나, 기업 내 · 외부 간 정보비대칭을 완화시켜 궁극적으로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가족기업일수록 내부회계담당인력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족기업일수록 내부회계관리 조직의 규모를 확대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경력자를 배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결과는 창업자 및 그 가족으로 구성된 가족기업이 명성을 중시하고, 비가족 기업 대비 장기 전망을 가지고 기업을 경영하므로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수행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investment in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of family firms. In Korea, family businesses are either controlled by the founders and their family, or owned and managed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their family. Due to the nature of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and managers are aligned in family firms, and the agency problem betwe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is highlighted rather than the agency problem between the shareholders and the manager. At the same time, family firms have the advantage of running the busines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ased on a sense of ownership. On the other hand, although investment in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entails related costs, it has the effect of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and ultimately increasing the corporate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firms listed on the KOSPI from 2011 to 2018,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firms are actively investing in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family firms enlarged the size of internal control organization and placed experienced personnel in the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businesses composed of founders and their families place importance on reputation and actively invest in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as they run the business with a long-term outlook compared to non-family business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