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세계화와 남북의 사회통합을 위한 문화적 해석

Globalization and the Social Integration of South-North Korea: From a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2

이 논문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해석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남북의 사회통합을 문화적 측면에서 고찰한 글이다. 세계화의 개념을 문화적 복합 연계성에 두고 다중문화 간 발생하는 문화 변동 현상을 남북의 상황가운데 접목시켜 통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남북의 다양한 문화갈등과 변화의 가능성을 진단하고 있다. 이 글은 세계화의 문화 변동과정이 특정 지배문화가 하부문화를 흡수하는 문화의 균일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지역문화들이 다양한 상호연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과 ‘소통’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층을 창조해 내간다는 인문학적 문화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강조하는 문화 흐름의 속성과 문화가 학습되어 전수되는 과정, 변화의 철학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문화변용의 사례와 궁극적으로 변혁을 향해 끊임없이 타문화와의 접촉과 대화를 통하여 다원적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통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통합의 논의에서는 대표적인 기능주의자, 신기능주의자, 조직통합주의자, 다원적 통합주의자의 핵심개념을 통하여 남북의 이중문화 구조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유기체적이며 순환론적인 통합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남북한 사회의 문화적 변동현상을 분석하여 남북의 ‘가로지르기 문화성’을 확대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진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ocial integration of South-North Korea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by employing a methodology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ermeneutics.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driven by a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cultures in search of the most productive pathways to construct the more reliable and collaborative community in this global ear.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tensify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the field of social-cultural integration of South-North of Korea is increasingly confronted by more fundamental issues of identity, community, and humanity. Culture, along with the political-economic dimension, has come to be one of the dominant issues within the social integration process of South-North Korea.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dissimilar societies of South-North Korea. This paper presents a critical view about the frequent use of South Korea's cultural standard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 form of hegemony, which is linked with globalization as Anglo-Americanization, trans-nation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model of social integration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four representative theories: functionalist, neo-functionalist, systematic theory, and structural analysis to bring up the recreation of the Korean organic model of integration without relying on a particular westernized model. The survival and flourishing of two Koreas depends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successfully across differences. This paper examines the futuristic forms of cultural integration: culture of distance, restoration of the ancient Korean cultural heritage, cultural bi-polarity, disintegration of ethnocentrism, neo-Korean feminism & sex culture, and conflict between nationalism and fundamental religions. The basic rationale of this paper is on that the mutual referencing and learning of South-North Korea that will be vital to the harmonious social integration of South-North Korea. Somewhere in the convergence of the two cultures and perceptions the South-North Korea, they discover the channel of the ‘transversality’ of culture and the meaning of co-existence as well.

I. 들어가면서

II.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방법론

III. 유기체적 연대로서의 사회통합

IV. 사회통합을 위한 남북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V. 사회통합을 향한 남북의 ‘가로지르기 문화성’ 해석

VI. 나가면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