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남북한 역사교육 분석을 통한 역사의식 통합 방안모색

Comparative Study of Recognition toward History in South and North Korea - Centering Around Historical Textbooks

역사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는 어떤 국가나 사회가 구현하고자하는 정체성의 대표적인 표현물이라고 생각된다. 반세기 이상을 완전히 서로 다른 정치 이념과 사회조직을 구현해온 남한과 북한의 이질성은 사회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동일한 역사에 대한 역사 교과서의 서술의 차이는 가장 대표적인 이질성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사의 흐름을 발전적인 시각에서 파악하여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자주적 역사에 대한 긍지를 지니며, 새로운 역사 창조에 기여한다」와「계급의식을 고양하고 반외세 투쟁정신을 고취하여 주체의 조국, 사회주의 모범의 나라의 우월성을 내세우고 혁명의 위업을 수행한다」는 교육목적에서부터 그 교육의 지향성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바, 현재의 시점에서 염려되는 것은 지난 온 시간의 차이점보다는 이러한 서로 다른 방향성에서 형성된 후세의 역사 인식이 통일 후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야할 민족동질성 회복에 얼마나 큰 걸림돌이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현재의 시점에서 할 수 있는 통일 이후 국민통합을 위한 국사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와 노력이 절실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국사 교육이 가지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지금 보다는 더 국사교육을 강화해야 되며, 통일 이후를 대비한 국사 교과서의 개편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구체적인 지침으로는 첫째 세계화의 추세에 맞춰 국제화의 흐름에 맞는 보편성을 확보한 세계사의 방향에 부응하여야 하며, 둘째 역사적 사실의 해석에 다양한 사관이 존재할 수 있음을 전제로 현재의 국사교과서의 분량을 대폭 확충해야만 한다. 셋째 국사교과서의 집필진은 근현대사 부분의 정치적 평가에 대한 예민함을 감안하여 중립적인 학자들로 집필위원회를 구성하고 넷째, 교육과학기술부나 국사편찬위원회 산하에 ‘통일 후 국사교육 준비위원회’와 같은 조직의 설치를 들 수 있다.

History textbook, designed to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 tends to be considered as an emblem expressing a social or national identity. It is true that all kinds of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ulted from the more than a half century’s separation and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Most of all, although two countries share the same historical background, it is obvious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in describing each country’s history. For instance, ““with positively analyzing historical events or facts, historians in South Korea tend to focus on establishing nationalistic legitimacy and promoting people’s pride of self-reliance Korean history.”” Yet, North Korea historians, based on proletariat social revolution ideology, tend to emphasize anti-foreign influence and building their country as a socialist state’s model. For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Korea’s historical views, it is appropriate to expect that the next generation of two Korea may have great difficulty in recovering their historical homogeneity when two Koreas are unified as one country. Thus, it is time for discussing the implicit meaning of such difference and searching for a history education method designed to actualize peoples’nationalistic identical unification. In order to realization peoples’ identical unification after the geographical unification, we need to modify our own history textbooks now. It is necessary for two Korea’s historians to consider the following indications of modifying history textbooks. First, the new textbook must be met a global and universal standards of international history. Secon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in terms of describing a certain country’s history, the new textbook must cover the diverse viewpoints in describing Korean history. Third, historians for the new textbook must have neutral viewpoint in terms of their political ideology because they are to evaluate certain political events of current period. Four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new governmental organization that is autonomous and designed to modify Korean history textbook, for instance, ““the committee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unified Korea.””

I. 서론

II. 남북한의 역사교육 비교

III. 통일 이후 국민통합을 위한 국사교육 방안

IV.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