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17세기의 프랑스 수사학과 문체적 학설에 대한 제(諸)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French rhetoric and the diverse themes on stylistic doctrines in 17th century

  • 3

본고는 17세기에 출간된 프랑스 수사학(웅변술) 관련 저서들의 특성분석을 통해 정립된 17세기 문체론 학설(學說)들에 관한 제반 문제를 기술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7세기의 수사학이 고전주의 문체적 학설의 진입변수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점에 착안하여 당대의 프랑스 주요 수사학자나 작가들이 내세운 문체의 정의와 형식, 문체 장르, 문채들을 중심으로 17세기 문체론의 중요한 논거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17세기 문체이론가들이 내세우는 문체의 형식기 다양한 문체의 문채들기 관련되어 나타나는 작시법에서 문법 연구에 이르기까지의 17세기 문체론 기능기 역할을 재평가하였다. 본고는 고대 그리스·로마시대 수사학의 경험들과 원칙들의 영향을 받은 17세기 문체론의 학문적 확립과 운용을 위하여 17세기 수사학과 문체 이론에서 정립된 수사학의 원천과 학교 수사학과의 관계들, 수사학의 죽음과 재탄생에 관한 이념논쟁, 문체의 구성요소, 문체의 장르, 은유와 비유 언어 등을 당시의 수사학자들의 시각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diverse themes on stylistic doctrines which are presented to the theorists of 17th century in French rhetorics. We watched the important arguments of the stylistic problems which are explained on the one hand by the influence of the ancient theories,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precepts of Cicero, by “genera dicendi” of Quintilianus, etc Especially we revalued, from the composition to grammars, the stylistic function and stylistic role of the 17th century which refered with the forms of the style and the various stylistic devices of the theorists. To establish a stylistics of the 17th century, influenced with the principles and experiments which go back to Antiquity, we described,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rhetoricians, the rhetoric origin, and the role of school rhetorics, the style in rhetoric, the movements against rhetoric, the elements of the style, the ornaments and the passion of the figure, the metaphor and the figured language, etc Closing this study, our remark to note is that the theorists of the 17th century creates the true stylistic doctrines, its goal is to arrive to a detailed knowledge of the expressive processes, with the concrete concepts about the elocution and with the rules of the style. This is the reason for which we will find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stylistic field.

Ⅰ. 들어가기

Ⅱ. 문체의 문제와 수사학의 역할

Ⅲ. 수사학(웅변술) 개념에서의 문체

Ⅳ. 수사학 교육에 관한 논쟁

Ⅴ. 문체의 구성요소

Ⅵ. 문체의 장르

Ⅶ. 장식의 문채와 정념의 문채

Ⅷ. 은유(법)와 비유 언어

Ⅸ. 나가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