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만의 티베트학(藏學)연구와 동향

A Study of Tibetanlogy Taiwan

  • 5

오늘날 ‘티베트연구’(藏學)의 중심무대는 중국(中國)과 대만(臺灣)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당대(當代)에서 현재까지 티베트연구의 전문 학자와 연구기관 및 관련 학술지발간의 정도를 기준으로 볼 때, 국내외의 어떤 국가와 지역보다도 질과 양의 밀도가 우월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미 중국의 티베트연구 경향과 특성에 관하여 우수한 논문이 학계와 공유되었다. 이에 반해 장학연구의 또 다른 축을 형성하고 있는 대만의 연구 경향과 발전에 관해서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의 필요성과 일차적인 연구목적이 제기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목적과 의미를 가진다. 첫째, 이미 국내에서 학술적으로 발표되고 공유된 중국의 티베트연구 동향에 반해, 또 다른 한축을 형성하고 있는 대만의 티베트연구 동향과 특징은 아직 세부적으로 연구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문은 당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만의 티베트연구 상황과 변천의 동향을 검토하여 중국과의 이동(異同)을 도출하고자 한다. 두 번째, 첫 번째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대만의 주요 티베트 연구기관과 연구학자군(群), 그리고 학자들의 논문 경향을 분석하여 대만의 티베트 연구특징과 동향을 이해하고자한다. 세 번째, 오늘날 티베트의 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개인연구 또는 학제간의 연구를 통하여 적지 않은 훌륭한 연구 성과를 집적(集積)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의 티베트연구를 국내 학계에 소개하는데 유용한 공구로서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국내 티베트연구의 활성화와 방향의 이정표를 제시하는데 일조를 할 것이다.

The central stages of ‘Studying Tibet(藏學)’ are China(中國) and Taiwan(臺灣) because they have far mo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cellent expert scholars, research institutes, and scholarly journals related to Tibet published from Tang Dynasty(當代) to the present than any other country or region. Although Korea has already shared outstanding dissertations on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for studying Tibet with China’s academic world, getting to know Taiwan’s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s, the other major stage, is insufficient. That is why this paper is required and wha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specific objectives and meanings. First, unlike China’s study trends on Tibet already published and shared in Korea, Taiwan’s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the other framework when studying Tibet, have not substantially produced any outcomes in Korea yet. Thus, this paper attempts to take a look at conditions and changes of Taiwan’s study on Tibet from Tang Dynasty to the present and compare and contrast(異同) them to China’s. Second, to conform the first objective, the paper tries to comprehend Taiwan’s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rends by analyzing its major research institutes, scholar groups(群), and their dissertations. Third, this paper derives from a personal and scholarly reason that I received a degree for the study on Tibet in Taiwan. Therefore, there exists a chance that my subjective reasoning might threaten the paper’s objectivity and balance. On the other hand, since my longtime study in Taiwan can bring out benefits to profoundly and specifically grasp Taiwan’s study status on Tibet, my academic backgrounds will be more likely to lead the study more practical and realistic. Fourth, today’s study on Tibet is conducted in many fields. Even Korea has accumulated quite a few outstanding personal researches or joint researches among scholars. As a useful tool to introduce the study on Tibet to Korean academic world, this paper will help set up a milestone to activating and directing Korea’s study on Tibet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대만의 티베트연구(藏學) 주요기관

Ⅲ. 대만의 티베트연구(藏學) 학자군(群)과 연구동향

Ⅳ. 대만의 티베트연구(藏學) 변천과 동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