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중 소비자의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Consumers' Smartphone Purchase Intentions i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을 응용하여 스마트폰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했다. 독립변수로는 스마트폰의 특성과 연관된 ▲기능과 속성, ▲보안성, ▲애플리케이션, ▲지각된 비용,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했고, 매개변수에는 편리성과 유용성 외에 만족도 요인을 추가했다. 서울과 북경의 거주자 318명을 상대로 수집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분석을 해보았다. 가설검정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의 관계와 경로는 기능과 속성→만족도, 보안성→편리성, 애플리케이션→편리성, 애플리케이션→유용성, 지각된 비용→만족도, 사회적 영향→만족도, 사회적 영향→유용성, 편리성→유용성, 만족도→구매의도, 유용성→구매의도 등이다. 특히 유용성(0.297)에 비해 만족도(0.578)가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소비자의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이 한국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국에서는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과 달리 만족도보다 유용성이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지각된 비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ppli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review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smartphones.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five factors including ‘function & properties’, ‘security’, ‘applications’, ‘perceived cost’ and ‘social influence,’ which are associated with smatphone-specif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ease of use’ and ‘usefulness’, ‘satisfaction’ was added to the parameter. This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survey data for 318 residents in Seoul and Beijing. The paths of relationships among those factors which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unction & properties→usefulness; security→ease of use; applications→ease of use; applications→usefulness; perceived cost→satisfaction; social influence→usefulness; ease of use→usefulness; satisfaction→purchase intentions; usefulness→purchase intentions. In particular, the usefulness (.297) compared to the satisfaction (.578) appeared to have greater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s appear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Beijing. Social influence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in Seoul, but not in Beijing. Beijing compared to Seoul showed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usefulness. Consumers in Seoul seemed more interested in ‘application.’ In contrast, Beijing consumers appeared to react more strongly to perceived cost.

Ⅰ. 서론

Ⅱ.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설계

Ⅲ. 실증분석 내용 및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