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교육에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연구

A Study on Dependent Noun Combinations for Causal Relations in Korean Education

  • 154

이 연구는 한국어문법 교육에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항목을 확장하고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에 대한 앞선 연구물과 한국어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재정리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의존성 명사 결합형 자료 분석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언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을 위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항목 재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 항목에는 ‘-ㄴ/는 바람에, -ㄴ/는 통에, -기 때문에, -ㄴ/는 김에, -ㄴ/는 탓에, -ㄴ/는 만큼, -는 덕분에, -ㄴ 나머지, -ㄴ 이상, -ㄴ 끝에, -는 관계로, -ㄴ 결과, -ㄴ/는 까닭에’가 포함된다. 그리고 의존명사 선행절에 오는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제약과 명사형 어미 ‘-기’ 형태의 명시적 제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관형사형 어미 결합은 ‘나머지, 이상, 끝, 결과,바람, 통, 김, 만큼, 탓, 덕분, 관계, 까닭’이고, 명사형 어미 ‘-기’ 결합은 ‘때문’이다. 또 의존성 명사의 형태에 따라 후행절에 오는 조사의 명시적 제시와 인과관계의 의미 외에 다른 의미를 가진 형태에 대한 설명의 상세화를 제시하였다. 의존성 명사 결합형에 후행하는 조사는 ‘에’, ‘(으)로’, ‘에’와 ‘(으)로’ 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 결합이 불필요한 형태와 ‘에’와 ‘(으)로’ 외에 다른 조사가 결합하는 형태도 나타났다. 또 인과관계와 다른 의미를 가지는 항목은 ‘- ㄴ/는 김에, -ㄴ/는 만큼, ‘-(으)ㄴ 끝에’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항목 제시의 근거 마련과 구체적인 항목 확장 그리고 교육 방법 마련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items of dependent noun combinations for causal relation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propose basic directionality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and rearranged previous studies and Korean education materials about dependent noun combinations and provided their implications.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tical research into dependent noun combinations, the study proposed a couple of methods applicable to Korean education. The study first proposed to reset the items of dependent noun combinations for causal relations for Korean education, and these items include ‘-n/neun balam-e, -n/neun tong-e, -gi ttaemun-e, -n/neun gim-e, -n/neun tas-e, -n/neun mankeum, -neun deogbun-e, -n nameoji, -n isang, -n kkeut-e, -neun gwangyelo, -n gyeolgwa, -n/neun kkadalg-e’. The study then raised a need to limit the tense of adnominal endings and present the form of the nominal ending ‘-gi’ explicitly in dependent noun-based antecedent clauses. The adjective ending conjugation is ‘nameoji, isang, kkeut, gyeolgwa,balam, tong, gim, mankeum, tas, deogbun, gwangye, kkadalg’, and the noun ending ‘-gi’ conjugation is ‘ttaemun’. The study also proposed to present postpositions in following clauses explicitly according to the forms of dependent nouns and offer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forms of cases with different meanings other than causal relations. The postpositions following dependent noun combinations included ‘e’, ‘(eu)io’, ‘e’ and ‘(eu)lo’. In addition, there were some forms that needed no postposition combinations and others that combined with postpositions other than ‘e’ and ‘(eu)lo’. Also, items that have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causal relationship are ‘- n/neun gim-e, -n/neun mankeum, ‘-(eu)n kkeut-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measures to establish grounds for presenting the items of dependent noun combinations for causal relations, expand the specific items, and prepare educational methods in Korean education.

Ⅰ. 서론

Ⅱ.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제시 현황

Ⅲ. 인과관계 의존성 명사 결합형 의미와 용법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