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지도연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규장각 소장 〈도성도(都城圖)〉의 산세 표현

Destcription of Mountains in Doseongdo of the Kyujanggak Collection

  • 20

이 글은 1788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소장 〈도성도〉의 산세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유행한 진경산수화풍이 〈도성도〉의 산세 표현에 미친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도성도〉에서 도성 주변의 산세 표현은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회화성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의 지형은 동ㆍ서ㆍ남ㆍ북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도성도〉는 서울의 이러한 지형을 강조하기 위해 산을 부각시킨 도성지도이다. 산세 표현에 사용된 회화적 표현 기법은 당시 산수화에 나타난 실경산수화 표현 방법과 공통점이 있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겸재 정선(鄭敾, 1676~1759) 이후 유행한 진경산수화풍과 관련이 깊다. 조선 후기 산수화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던 진경산수화풍이 회화적 표현의 지도 제작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린다는 형식을 빌리는 지도 제작 역시 회화와 다르지 않고 지도를 그리는 제작자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당대의 화풍으로 지도를 제작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도적 특성상 〈도성도〉에 보이는 진경산수화풍은 산수화에 쓰이는 필치보다는 압축되고 경직되어있다. 그럼에도 1788년의 규장각 소장 〈도성도〉는 입체적이고 회화적인 산세 표현으로 왕조의 상징으로서 도성의 권위를 잘 드러낸다. 이를 통해 〈도성도〉는 지도를 제작한 사람과 제작을 주관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세계관과 사회적 요구 속에서 탄생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view of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in Kyujanggak collection, painted in 1788 and understand how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眞景山水畵, jingyeong sansuhwa), which was in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influence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Key feature of the mountain description around the royal capital in Doseongdo is pictorial character like a landscape painting. Seoul is enclosed by mountains and in order to emphasize such geographical fearture , the mountains were highlighted in Doseongdo. Representation technique used in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has similarities with the technique of painting from actual scenery used in landscape paintings in those days, especially with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hich was very popular in the late 18th century after Jeong Seon (鄭敾, 1676~1759; sobriquet, Gyeomjae).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rought remarkable changes not only in landscape paintings but also in making a pictorial map. Three dimensional and pictorial description of the mountains of Doseongdo in 1788 expresses authority of the royal capital as Joseon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Doseongdo was created by world view and social needs owned by the person who made the map and anyone who were involved in making the map.

1. 머리말

2. 도성도의 출현과 형식변화

3. 규장각 소장 도성도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