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파인드코리아 웹사이트상에 있는 약 천 여 종의 서양 고지도를 대상으로 제작 시기별, 국가별로 울릉도와 독도 표기의 내용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16ㆍ17세기에 제작된 서양 고지도에는 한국의 형태와 국가명, 제주도 등만 표현되어 있다. 18세기 지도에 이르러 울릉도와 독도가 표기되기 시작하는데 18세기 서양 고지도에 묘사된 울릉도ㆍ독도는‘Fan-Ling-tao ㆍ Tchian-Chantao’ 지명을 표기한 형태와 지명 표기 없이 두 섬의 윤곽만 그린 형태가 다수이다. 19세기 이후 서양 고지도 속의 울릉도와 독도는 서양인이 붙인 서양식 외래 지명과 서양인이 그린 형태로 대체된다. 한편 18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된 서양 각 국의 동해 탐사 결과로 인해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아일랜드, 독일 등의 지도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표기가 나타나게 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changes in marking of Ulleungdo and Dokdo as per produced time/country of about a thousand kinds of old Western maps on the Findcorea’s website. On old Western maps produc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re expressed the shape of Korea as a peninsula, the country name and Jejudo only. By the 18th century, Ulleungdo and Dokdo began to show on maps. Regarding Ulleungdo and Dokdo described on old western maps of the 18th century, most of them are first, drawn as two islands with marking the place name of “Fan-Ling-tao · Tchian-Chan-tao” and second, drawn as the outline only of those two islands without marking the place name. Regarding Ulleungdo and Dokdo shown on old Western maps after the 19th century, Also in case of the marking as “Fan-Ling-tao · Tchiang-Chan-tao”, the number of maps produced as per country was shown as France, England, Germany, Italy, Ireland and in e order.
1. 서론
2.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울릉도ㆍ독도의 명칭 변화
3. 파인드코리아 웹사이트상의 서양 고지도 속의 울릉도ㆍ독도
4. 서양 고지도 제작 국가별 울릉도ㆍ독도 표기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