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세계문화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칼뱅 신학에 나타난 신학의 사회포용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ology of Inclusion for the Society in Theology of John Calvin

본 논문은 사회포용 관점에서 칼뱅 신학이 본래 함의하고 있는 사회참여에 대한 신학의 원리와 실천성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칼뱅주의는 교리주의 원칙으로 교회와 사회에 대립을 초래하였으나, 제네바 개혁 정신은 교회에 대하여 ‘성결’을 강조하여 하나님 순수 신앙을 견고히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복음의 포용성을 발휘하여 개혁의 차별과 편견을 극복하였다. ‘포용적 이원론’은 앞으로의 칼뱅주의가 사회를 대하는 태도에 있어 신학의 지표가 된다. 칼뱅의 개혁원리는 에이브러햄 카이퍼(Abraham Kuyper)에게서 현대적 개혁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칼빈주의 강연󰡕(Lectures on Calvinism,, 1898)에서 ‘포괄적 삶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스도의 통치영역이자 인간사회의 모든 분야를 총괄하는 ‘포괄적 삶의 체계’는 역사적 칼뱅주의를 재정비하고 다가올 미래 시대의 요구에 대한 사회포용의 신학적 · 신앙적 대안이라는 것에 있다.

This present study explores theology of John Calvin’s social engagement in terms of its social inclusivism. Historically, Calvinism has been known as developed strict reformed tradition which led its relation to the society in dualistic conflict. However, John Calvin’s Geneva Reform clearly showed that his reformation has developed in the idea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ociety. Calvin underscored the Christian consecration of the Church, and socially practiced the embrace of gospel in order to prevent any form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Calvin’s inclusive dualism served as an outstanding theological reflection that shows what kind of attitude Calvinism should take toward society. The distinctive of Calvin’s theology has been developed as more contemporary Reformed theology through the works of Abraham Kuyper. In his book “Lectures on Calvinism”(1898), he provided the new value of Calvinism which can be identified as a system of holistic human life. It offered the social inclusion of theology that helps to reorganize historical Calvinism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future era.

Ⅰ. 들어가는 말

Ⅱ. 칼뱅 신학의 사회포용

Ⅲ. 신 칼뱅주의의 포괄적 사회포용 신학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