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시기부터 현재까지 학습자의 영어수준을 고려한 수업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아동들의 영어 수준차가 누적됨에 따라 점차 영어에흥미를 잃는 아동들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문자언어 학습이 강화되는 고학년 시기에 수준차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실정이다(권현정, 김혜리, 2012; 이완기, 2014). 하지만, 아동의수준에 따라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달리하는 수준별 수업은 수준에 따른 집단 편성에 의한 구분이 하위 집단에게 열등감을 일으키고 아동 간의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이경화 외, 2016). 수준별 수업을 적용할 때 현저한 부진을 보이는 아동들의 경우, 학습 동기를가질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정행, 노영신, 2009), 영어 학습에서느꼈던 좌절감과 부정 정서를 극복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료 활용에 대한탐색이 필요하다(권현정, 김혜리, 2012; Jeong & Kim, 2012). 한편,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상호작용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내거나 정보를 전달하므로 영어 수준이 낮은 아동들도 그림을 보며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준의 어휘나 표현도 포함하므로 상위 수준 아동들의 흥미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수준의 아동이있는 학급에서 같은 그림책을 읽더라도 수준별 후속 활동을 수행할 수 있기에 다인수 학급에서 효과적인 수업 자료가 된다(김혜리, 2015). 이와 같은 그림책의 교육적 이점 때문에 국내에서도 초등영어 교육에 그림책을 포함한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김혜리, 김은연, 2012; 김혜리, 이정윤, 2009; 박수정 외, 2019; 박정은, 안경자, 2014). 실제로 그림책을 짧고 쉬운 동시 읽기와 연계한 연구에서 아동들은 자신들의 영어수준에 따라 텍스트에 반응하면서 각자의 수준에서 언어적 향상도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김혜리, 김은연, 2012), 동일한 텍스트를 읽더라도 영어 수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언어를 사용해 표현하였다(김혜리, 이정윤, 2009).…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a level-differentiated literacy class in primary English using picture books and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learner’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How can each cycle of a level-differentiated literacy class based on picture books be practiced? 2) What are the aspects of a level-differentiated literacy learning in primary English? To answer these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level-differentiated literacy class using picture books was conducted through three cycles. In Cycle I, the students set the stage for reading by decoding words. In Cycle II, students began to read sentences and tried to write. In Cycle Ⅲ, it was possible to develop an integrated literacy through information reading. Based on the positive results of the three cycles, lesson models were derived. Second, it was possible to find three aspects of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Low-level students built a foundation of literacy learning from decoding to sentence writing. Mid-level students attempted meaningful writing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processed information using the text they read. High-level students responded to the text in-depth as well as producing their own ideas.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