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 활용 초등영어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applications and platforms for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or English writing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초등영어교육
- 제28권 3호
- : KCI등재
- 2022.09
- 79 - 112 (34 pages)
테크놀로지 기반 언어학습은 학습자 맞춤형 교육, 학습자 간 상호작용 촉진, 언어 기능 증진을 불러올 뿐 아니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발하여 학습자 동기와 창의성 측면에도긍정적 영향을 미친다(이현주, 2020). 이는 언어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기능과 정의적 측면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테크놀로지 종류 중에서도 휴대 가능한 기기를 활용한 학습인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은시간적, 물리적 한계를 넘어 접근이 용이하며, 이동에도 편리한 점 등으로 앞으로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에도 기대가 크다. 초등영어교육 분야의 모바일 학습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 활용 교수·학습 연구가 활발하고(최신형, 2022),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연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배윤주 외, 2019). 또한, 온라인상 동시적인(synchronous) 상호작용을 가능하게한 매개체인 플랫폼 활용 연구도 활발하다(Kang, 2021). 이러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 등의 테크놀로지를 교육목적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문해력(literacy)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문해력은 글을 읽고 쓰는 언어 중심의 기술로 이해되었지만(Olson, 1977),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문해력 연구가 지속되고 정보 통신 시대의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다중 문해력(multi literacy)개념이 등장하였고, 다중 문해력이란 기존의 텍스트 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전달되는 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능력을 의미한다(Cazden et al., 1996). 이는 변화하는 문해력은 인쇄매체를 활용한 기존의 읽기와 쓰기를 통한 이해 능력뿐 아니라 비 인쇄매체인 온라인 블로그(Blog) 등의 읽기 자료, 유튜브(Youtube),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자료, 팟캐스트(Podcasts) 등의 음성자료를 이해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 사용 기회가 제한적인 EFL 상황에서 쓰기와 같은 발화 기능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언어 입력원이 필요한데(장은정, 김혜리, 2020), 교육용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은 학습 내용을 보충하는 풍부하고이해 가능한 입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utilize applications and platforms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or English writing. It was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o write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s by getting corrections on students’ writing. Additionally, with the use of platforms, exchanging teachers-to-students feedbacks and students-to-students feedbacks during the process-oriented writing was attempted to improve efficac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wo classes of six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ests on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affective domai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conducted. Also, a semi-structured student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tes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sisted of the following six areas: motivation, self-management, responsibility, initiative,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The result showed that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every area improved and that student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classes utilizing applications and platforms. According to students’ responses, strengths of the classes were one on one learning, customized feedbacks, and time efficiency. However, a serious impediment was encountered utilizing applications and platforms. For example, some of them felt uncomfortable about feedback errors, comparison with peers, and adaptation time.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developing an English writing instructional model ar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