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기근의 원인 분석

The Causes of North Korean Famine: a review of FAD and FED approach

북한 식량위기의 원인에 대해 지금까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논의들이 존재해 왔다. 보통 기근에 대한 논의는 크게 식량 가용량 감소로 인한 기근을 의미하는 FAD(Food Availability Decline)적 접근과 식량 획득력의 감소에 의한 기근을 의미하는 FED(Food Entitlement Decline)적 접근으로 나뉜다. 그동안 한국 내에서의 북한 식량위기에 대한 분석은 이 두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하지만 북한 기근의 해결책에 대한 모색은 양 접근법을 바탕으로 하는 균형적 관점을 기초로 기근의 원인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때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기아 관련 이론의 두 축인 FAD 접근법과 FED 접근법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고찰한 이후, 둘째, 북한 기근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들을 FAD와 FED 접근법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정리해 보았다. 셋째, 시기별로 북한 기근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자 및 기관의 주요 분석틀을 분석하였다. 즉 특정 시기별로 FAD와 FED 중 어떠한 이론적 프레임이 연구자 혹은 기관들에 의해 선호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북한 식량위기를 주제로 하는 기존연구에 대한 전수 조사를 통해 원인을 분석하는 이론적 접근법에 있어 시기별로 우세한 접근틀이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There are very complicated and confronting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famine. Two dominant approaches on the issue of famine are food availability decline approach (FAD) and food entitlement decline approach (FED). The desirable analysis of famine cause is possible when it balanced between FAD and FED approaches. In North Korean famine studies, however, there have been a tendency that it was divided into FAD and FED. This paper examines FAD and FED approaches as two dominant analytical framework for famine analysis. Based on FAD and FED framework, we categorized the existing papers and reports on North Korean famine and found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on of South Korea and a preferred approach.

Ⅰ. 서론

Ⅱ. FAD, FED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FAD, FED 접근법에 따른 북한 기근의 원인 분석 검토

Ⅳ. 북한 기근에 대한 시기별 연구의 주요 접근법 분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