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치적 선호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

Socioeconomic Status, Political Preference and Political Choice in Korea: Evidence from the 19th General Election

사회경제적 지위에서의 불평등이 정치 참여, 정치적 선호, 정당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기존의 연구 대부분은 유럽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이러한 계층/계급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거나, 있다고 해도 계층/계급의 이익과 부합되지 않는 소위 ‘가난한 보수’나 ‘강남좌파’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많은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보수화되는 ‘연령효과’나 다른 매개변수의 효과를 제대로 통제하지 않은 것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제19대 국회의원선거의 경우 연령효과나 매개변수를 제대로 통제하면 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기권할 확률이 높아지고, ② 여러 쟁점, 특히 경제적 쟁점에서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진보적이고, ③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새누리당보다는 민주통합당에 투표할 확률이 크다는 결과가 도출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및 세대 균열이 여전히 압도적이긴 하지만 한국에서도 이제 계층/계급에 따라 다른 정치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과 그 목소리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동시에 보여준다.

Is the Socioeconomic Status model which predicts that the higher in socioeconomic status a person is, the more likely he or she is to vote not applicable to Korean elections? Doesn't one's socioeconomic status affect one's political preference and choice in Korea? This paper, by empirically analyzing data from the 19th Korean General Election, claims that peopl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show different political preference from peopl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peopl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participate less in politics than peopl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If these claims have at least some validity, then it is high time to worry about the unequal political outcome caused by unequal voice between the socially advantaged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Ⅰ. 문제의 제기

Ⅱ. 방법론적 논의 및 이변인 분석

Ⅲ.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선호

Ⅳ.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선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