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1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in Korea

본고는 반구대 암각화 제작 시기가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C 300-100 AD)라는 기존편년을 비판하고 ‘신석기시대’(대략 BC 4000-BC 3000)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것이다. 1980년에 도출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 안은 학계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적지 않은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편년은 현금 고등학교 각종 국사 교과서에실려 있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간 이 암각화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시사하는 여러 가지 물증이 출토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기존 편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사를 일별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편년을 수립함에 있어 필요한 몇 가지 변수와 고고학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물상 판독과 그에 따른 고고학적 해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새 편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위해 필요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하여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하고 있는 울산과 우리나라 동/남 해안지역에서 출토된 각 종 자연 및 인공 유물(예: 고래 뼈, 고래사냥 도구, 배와 노, 흑요석) 등을고고학적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나아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하여 각 시대의 패총 빈도수를 비교하여 보고 유물로써 수렵⋅어로 및 농경 관련 석재 도구 등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반구대 암각화는 최초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established in 1980 and generate a new chronology. This paper argued that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should be dated to the ‘Neolithic.’ According to the old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formulated in 1980, the date ranges between the Korean Bronze and Early Iron Ages (BC 300-100 AD). This chronology is still playing a critical role i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ies and supported by a number of rock art researcher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ext books are adopting the old chronology, almost all the Korean stud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 In the mean time, various material evidence discovered at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suggests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engraved much earlier tha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ing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Korean Neolithic (ca. 4000-3000 BC).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the old chronology has and focused on a few variables and archaeological context necessary to formulate a new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ropriat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motifs in which we are interested. To testify the new date of the rock art, ecofact and artifacts such as whale bone, whaling gears, oceangoing vessels and oars, obsidian discovered in Ulsan and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rchaeological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the subsistence patterns and frequency of shell midden of bot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hunting-fishing and stone too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I. 머리말

II. 반구대 암각화 편년사 및

문제 제기

Ⅲ. 반구대 암각화 물상의 기존

판독과 해석에 대한 재검토

Ⅳ. 고고학 자료와 맥락

1. 부산 동삼동 패총 I

2. 부산 동삼동 패총 II 정화

지역(淨化地域)

3. 울산 황성동 유적 패총

Ⅴ. 고찰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