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제질서의 다면성과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중국의 시각을 예로

21세기 초입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정치, 경제, 안보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많은 사건들이 발생함에 따라 세력전이, 지정학의 귀환,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 등 현행 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동 배경하에서 본문은 국제질서란 무엇이며 현 질서의 특징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등 국제질서에 관한 내용을 재검토하고 있다. 국제질서는 힘, 제도, 규범, 가치관 등 복수의 물질 및 비물질적 요소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과 그 조합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때 국제질서에 대한 시각의 객관성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를 자유주의 국제질서라고 보는 시각과 이를 부정하는 현실주의적 시각은 미국은 물론 세력전이의 당사자로 주목 받아온 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은 미국 주도의 혹은 미국의 시각에 입각한 국제질서가 패권적이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전통적 ‘천하관’을 비롯해 ‘공정과 합리’를 강조하는 글로벌 거버넌스관 등 자신의 질서관이 갖는 장점과 우위를 주장한다. 질서에 대한 미중 양국의 현실주의적 시각과 주도권 경쟁에도 향후의 국제질서는 현실주의로 경도되기보다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일정 정도 유지할 것이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many serious international crisis happened in various realms including international politics, security, economy, etc. As a result, differen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the crisis or end of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purports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what is international order, what constitutes it, and how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can be characterized. The international order is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 and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power, institutions, norms, and values, and therefore, rather than defining it from one specif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onents and the changes of their combinations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balance of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Despite the realist view and the U.S.-Sino competition for leadership, the future international order can be expected to remain liberal rather than realist in character.

Ⅰ. 서론

Ⅱ. 국제질서에 관한 이론적 시각

Ⅲ.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특징과 위기

Ⅳ. ‘자유주의 국제질서’에 대한 중국의 시각

Ⅴ. 결론을 대신하여: 미·중 경쟁과 향후의 국제질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