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국 금리의 한국에 대한 전파 효과

Trilemma 가설의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장기 금리의 한국 장기 금리에 대한 전파 효과가 있는지 여부와 trilemma 가설 성립 여부에 관하여 개방거시경제 모형 및 SVAR 실증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VAR 모형의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 전체 샘플 기간에는 미국 장기 금리의 한국 장기 금리에 대한 전파 효과가 존재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환율이 자유롭게 변동할 경우 미국 금리의 한국 금리에 대한 동조화 압력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trilemma 가설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전 기간에는 한·미 금리 간 전파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금융 위기 이전 기간에 대해, trilemma 가설의 유효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장기 금리의 움직임은 외환시장 개입에 따른 환율의 안정화 및 금융시장의 개방도와 무관하게 미국 장기 금리에 동조화하지 않음을 보임으로써 trilemma 가설이 유효하지 않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체 샘플 기간과 금융 위기 이전 기간 모두 향후 경기변동에 대한 기대가 한국 장기 금리 변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trilemma 가설과 무관하게,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와 경기변동에 대한 기대가 한·미 장기 금리 전파 효과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I analyze the efficacy of the Trilemma hypothesis, as well as the spillover effect of the U.S. long-term interest rate on Korea’s interest rate, by utilizing SVAR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ethodology and a open macro model on long-term interest rate. I find that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there existed the spillover effect of the U.S. interest rate on Korea’s interest rate, which support the Trilemma hypothesis. However, I find that during the pre-crisis period, the U.S. interest rate did not have significant spillover effect on Korea’s interest rate, which does not support the Trilemma hypothesis. In addition, I find that during both the whole sample and the pre-crisis period, the expectation on business cycles was a main driver of Korea’s long-term interest rate.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regardless of the trilemma hypothesis, the aftermath of financial crisis as well as the expectation on business cycles played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extent of the spillover effect.

Ⅰ. 서론

Ⅱ. 데이터 및 모형 설정

Ⅲ. 실증분석 결과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