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관광분야 소비자 행동의도 연구동향과 과제: 고관여 태도 이론 중심으로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in Tourism Journals: Focused on High Involvement Behavior Theory

  • 376
2021_논문_KYOBO_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7권 제3호_thum.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장경제에서 소비자의 선택과 행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소비자의 행동의도에대한 영향관계 연구의 중요한 이론인 고관여 태도 이론을 적용한 관광분야 학술지 논문을 분석함으로서소비자 행동의도 연구 논문의 경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연구 방향 설정의 중요한 기초자료를제공함으로서 소비자 행동의도 연구의 발전과 확장에 기여 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관광분야의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1998 년 부터 2022 년 6 월까지Fishbein 태도 이론,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140 편의 논문을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조사 방식으로 학술지별 게재 현황, 연도별 게재 추이, 관광 분야별 적용 이론 경향, 관광 분야별 확장된 변수 경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논문이 115 편으로 82.1%로 가장 많은 적용 비중을 차지했으며, 계획적 행동이론이 15 편인 10.7%, 합리적 행동이론은 7 편인 5.0%, 행동이론간 비교 연구는 2 편 1.4%, 초기 모델인 Fishbein 모델의 경우는 1 편으로 0.7%로 조사 분석 되었다. 1998 년부터 연도별 게재 추이는2010 년도 부터 관광 분야에서 본 이론이 적용되었으며, 2018 년, 2019 년 다소 주춤하였지만, 2021 년까지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호텔/외식경영 분야에서 총 33 편 게재되어 가장 많이 적용 연구됨을알수 있다. 결론 한국연구재단의 관광분야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총 15개에 게재된 Fishbein 모델,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주제로 하는 학술지 논문 140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서학술지에 게재하지 않은 학위논문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 되었으며, 관광분야의 모든 항목의 연구 분야를 광범위하게 조사함으로서 분야별로 깊이 있는 확장된 변인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한계점은 있으나, 소비자 행동이론을 관광 분야에 적용한 140편의 논문 연구 경향을 최초로 분석함으로서 향후 행동 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sumer choices and behaviors in a market economy so analyzing research papers from tourism journal focused on high involvement behavior theory, which are important theories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and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research by providing important basic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his study is published 140 papers applying Fishbein's Attitude Theory, TRA, TPB, ETPB from 1998 to June 2022 in registered on the tourism field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published papers status, publication trends by year, trends in applied theory by each tourism sector, and trends in extended variables by each tourism sector using a systematic review Results The papers that applied ETPB were 115 papers (82.1%), TPB were 15 papers (10.7%), TRA were 7 papers (5.0%), between theories comparative study 2 papers (1.4%), Fishbein model 1 papers (0.7%). This theory was applied in the tourism field from 2010, and it slowed down a bit in 2018 and 2019, but it is showing an increasing trend until 2021. By field, it can be seen 33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hotel/restaurant management field. Conclusion This study is survey of 140 journal papers published in 15 journals in the tourism sector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apers not included a degre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on in-depth expanded variables for each tourism field is insufficient, bu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irst time 140 papers applying the consumer behavior theor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the touris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pplying behavioral theor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