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사회단체 사회복지사의 복지정책 입법 운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사회복지실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시민사회단체에 소속되어 복지정책 입법 운동에 3년 이상 활동한 사회복지사 6명이고, 자료수집은 개별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사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11개의 중심주제와 4개의 범주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 추구’, ‘사회변화를 위한 집단적 접근과 대응’, ‘다차원적이고 전략적인 정치적 행동’, ‘지속적인 사회변화를 위한 기반 구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ocial welfare practice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welfare policy legislative mo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social workers who belonged to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have been active in the welfare policy legislative movement for more than 3 year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11 central themes and 4 categories were analyzed: 'Pursuit of structural change in society', 'Collective approach and response for social change', 'Multidimensional and strategic political action',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lasting social change'.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s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