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도 이내 근시 굴절이상이 소아 간헐 외사시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d to Moderate Myopic Refractive Error on Surgical Outcomes of Intermittent Exotropia in Children
- 대한검안학회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 Vol.21 No.3
-
2022.09122 - 126 (5 pages)
-
DOI : 10.52725/aocl.2022.21.3.122
- 2

목적: 술 전 중등도 이내 근시 굴절이상이 소아 간헐 외사시 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간헐 외사시로 외직근 후전술을 받은 근시 소아의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였다. 구면대응치에 따라 세 군(group 1: SE >-1.0 D; group 2: -3.0 D <SE≤ -1.0 D; group 3: SE ≤-3.0 D)으로 나누어 수술 후 1, 3, 12개월째 근시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외직근 후전 길이당 교정효과와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수술 12개월 후 -10 PD 내편위에서 +10 PD 외편위 이내의 편위를 보이는경우 수술 성공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각 군의 술 후 각 시점에서의 사시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외직근 후전 길이 1 mm당 교정효과(PD/mm)는 술 후1개월째 2.05 ± 0.40, 2.33 ± 0.57, 2.00 ± 0.30 (p=0.06), 술 후 3개월째 2.13 ± 0.46, 2.06 ± 0.26, 2.14 ± 0.13 (p=0.002), 술후 12개월째 1.93 ± 0.47, 2.11 ± 0.32, 1.92 ± 0.25 (p=0.113)로 술 후 3개월째에만 교정효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을 뿐 술 후초기 및 술 후 12개월째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술 후 12개월째 수술 성공률은 1군에서 81.82%, 2군, 3군에서는 100% (p=0.84)였고, 전체 군의 수술 성공률은 90.09%였다. 각 군 간 수술 성공률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세 군 간 수술 후 12개월째 수술 성공률, 외직근 후전 단위길이당 교정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아간헐 외사시에서 중등도 이내 근시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 외직근 후전술 수술량 결정 시 보정이 필요 없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ect of myopia on lateral rectus recession in children with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myopia who underwent lateral rectus recess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pherical equivalents (SEs) (group 1: SE > -1.0 diopter [D]; group 2: -3.0 D > SE ≥ -1.0 D; group 3: SE ≤ -3.0 D).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fter 1 month, 3 months, and 12 months, and the degree of correction were reviewed. Surgeries were considered successful if the amount of exo/eso-tropia or phoria was within +10/-10 prism diopters (PD) after 12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exodeviation at any time poi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degree of correction per lateral muscle recession (PD/mm) was 2.05 ± 0.40, 2.33 ± 0.57, and 2.00 ± 0.30; 2.13 ± 0.46, 2.06 ± 0.26, and 2.14 ± 0.13; and 1.93 ± 0.47, 2.11 ± 0.32, and 1.92 ± 0.25 at 1, 3, and 12 month(s) after surgery in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3 months only. The surgical success rate was 81.82%, 100%, and 100% in the groups,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Conclus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urgical success rate or degree of correction among groups with mild to moderate myopia. No additional surgical correction is needed in myopic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