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1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정책의 성과로 나타난 지역축제 연구

Study on the Regional Festival as a Result of Cultural Policies: Focusing on Domestic, Foreign, and Asan Festivals during the Cultural Transition Period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나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문화정책들이 문화자원을 생산해내고 축제로 발전시켜 지자체의 브랜드 가치를 높인 국내·외 사례를, 더 나아가 아산지역 축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정책의 중요성을인 식하고자 함이다. 전환기에 축제의 생산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우선 지역축제와 관련된 자원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들을 끊임없이 발굴해야 한다. 둘째, 축제의 관습적 재현을 탈피하여 시대의 문화 트렌드와 역동적인 탈주를 시도해야 한다. 셋째, 이야기 콘텐츠의 가치를 창출하고 집단지성과 피드백의 과정을 갖어야 한다. 넷째,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의 결합을 통해 온·오프라인 참여를 병행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축제의 브랜드화와 축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를 기초로, 지자체를 중심으로 아산지역 축제의 이미지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은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arts polic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festivals. Through th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cultural resources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into festivals. In order to create the productive value of the festival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following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resources related to local festivals sh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sources of economic value should be constantly discove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ustomary reproduction of the festival and attempt a dynamic escape from the cultural trends of the time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value of story content and have a proces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feedback. Fourth,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both online and offlin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novative digital technologies. Finally,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the branding of the festival and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the festival. Based on this study, a method to revitalize the image of festivals in Asan should be continuously sought.

Ⅰ. 서론

Ⅱ. 성공적인 국내·외 축제들 비교분석

Ⅲ. 문화전환기 아산지역 축제

Ⅴ.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